반갑습니다. 정보통 입니다.
오늘은 윈도우10 화면보호기 설정 방법에 대해
간단하게 설명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화면보호기를 설정해 두시면
오랜 시간동안 컴퓨터에 아무런 작업을
하지 않을 때 화면보호기가 실행되면서
컴퓨터 작업 내용을 가려주는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화면보호기는 스크린 세이버(screen saver) 라고도
불리는데 사실 요즘에는 많이 안쓰이지만
회사나 카페 같은 곳에서 PC작업을 하신다면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기능 입니다.
오늘은 윈도우10 화면보호기 설정 방법에 대해
간단하게 설명해드릴테니 필요하신분들은
아래 내용을 참고해서 설정해 보시기 바랍니다.
windows10 화면보호기 설정을 위해서는
윈도우 좌측 하단에 있는 시작버튼을
마우스 우클릭 해주시기 바랍니다.
그럼 다양한 메뉴들이 나오실텐데요
여기서 [설정]으로 들어가 줍니다.
그럼 windows 설정 창이 나옵니다.
여기도 다양한 메뉴들이 보이는데
[개인 설정] 메뉴로 들어가 주시면 됩니다.
개인설정에서는 배경화면이나 잠금 화면 등
다양한 설정 변경이 가능합니다.
개인설정에 들어가시면 위와 같이
좌측에 배경화면 변경이나 색, 테마 등
다양한 설정 변경이 가능한 메뉴들이 있는데
화면보호기 설정의 경우 [잠금 화면] 메뉴를
눌러주시면 됩니다.
그럼 우측에 잠금화면 관련 메뉴들이 나오고
여기서 [화면 보호기 설정]으로 들어가시면 됩니다.
그럼 화면 보호기 설정 창이 작게 뜨실겁니다.
여기 화면 보호기 부분을 눌러주시면
윈도우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고 있는
보호기들이 나올겁니다.
위에 모니터 부분에 미리보기도 나오니
마음에 드시는걸 골라주시면 됩니다.
화면보호기 중에는 설정이 가능한 것들도 있는데
옆에 [설정] 부분을 누르시면 위와 같이
화면보호기에 표시되는 텍스트 등을
변경하실 수도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모든 설정이 끝나셨다면 [대기] 부분에
대기 시간을 설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저 같은 경우 10분으로 설정했는데요
10분동안 컴퓨터 작업이 없을 시에
해당 화면보호기가 실행된다는 의미 입니다.
설정 후에 아래 [적용]을 누르시면 끝납니다.
이상으로 윈도우10 화면보호기 설정 방법을
간략하게 정리해 드렸는데요
윈도우에서 제공되는 것뿐만 아니라
인터넷에 보면 개인이 만든 스크린세이버도
다운받아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 부분은 다음번에 포스팅을 한번 더 해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