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갑습니다. 정보통 입니다.

오늘은 공공보건포털 사이트를 이용한

인터넷 보건증 발급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알바를 하더라도 요식업 계통에서

일을 하게 되면 요구 되는 것 중

하나가 바로 보건증 입니다.



아무래도 먹거리는 건강과 직결되기 때문에

근무자의 건강상 문제가 없는지

확인하는 것은 당연한듯 합니다.

참고로 보건증 유효기간은 1년 입니다.



보건증 발급은 직접 보건소를 찾아서

검사를 받고 진행해야하는데요

오늘은  인터넷 보건증 발급 받는법에 대해

알려드릴테니 참고해 보시기 바랍니다.



먼저 보건증을 발급 받기 위해서는

가까운 보건소를 방문하셔야 합니다.

이 때 필요한 준비물로는 성인의 경우

주민등록증이나 운전면허증, 여권과 같은

신분증을 들고 가셔야 합니다.

청소년은 학생증이나 여권을 가지고 가시면 됩니다.



보건소에서 안내에 따라 몇 가지 검사를

진행해 주시면 끝납니다.

참고로 보건증 발급 수수료는 3천원 입니다.



근데 보건증이라는 것이 검사를 받고나서

바로 발급되는 것이 아니라 어느정도 시일이 걸립니다.

지역별로 상이할 수도 있는데

보통 5일 정도 소요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따라서 보건증을 받기 위해서는

보건소를 재방문하시던가 인터넷으로 발급 받아야 합니다.

또한 무인발급기를 통해서도 보건증 수령이 가능합니다.



그 중 보건증 인터넷 발급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먼저 네이버에 '공공보건포털'을 검색하시고

나오는 사이트 하위 메뉴에 있는

[제증명발급]으로 들어가 주시기 바랍니다.




사이트에 접속하시면 보안프로그램 설치가

뜨실 수 있는데 안내에 따라 설치해주시면 됩니다.

사이트에 접속하셨다면 스크롤바를

아래로 쭉 내려보시면

개인정보 수집동의에 대한 내용이 있는데

읽어보시고 체크하신 다음에

아래에 이름과 주민등록번호를 입력하고

공인인증서나 아이핀, 핸드폰 등을

이용해 본인인증을 해주셔야 합니다.



본인 인증을 하셨다면 온라인 제증명

발급시스템이라는 창이 뜨실겁니다.

총 7종의 문서발급이 가능한데

보건증의 경우 [건강진단결과서] 입니다.

선택해 주시기 바랍니다.



그럼 아래 건강진단결과서 내역이 뜨는데

접수일자나 보건소명, 접수번호 등의

정보가 나오실 겁니다.

저 같은 경우 보건증을 발급 받은지

오래되서 안나오는데 최근에 받으신분들은

내용이 나오실겁니다.

클릭하신 다음 컴퓨터에 연결 된

프린터를 통해 인쇄해주시면 됩니다.



이상으로 공공보건포털 홈페이지를 이용한

인터넷 보건증 발급 방법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참고로 직접 수령하시러 보건소에 가는 경우

본인이 못가는 경우에 대리 수령도 가능한데

위임장과 본인 신분증, 대리인 신분증을

지참해서 가시면 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