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갑습니다. 정보통 입니다.

오늘은 자동차 취득세 계산기 사용법에 대해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우리는 연필을 하나 사더라도

거기에 세금을 내게 됩니다.

자동차도 마찬가지 인데요

차량 구입 시에는 등록세와 취득세를 내게 됩니다.

이를 합쳐 취등록세라고 합니다.



이 취등록세는 차량 가격에 따라 달라지는데

차량 자체가 금액이 높다보니

차량 구입 시에 취등록세도 만만치가 않습니다.

그래서 미리 취등록세를 계산해 보시는분들이 많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자동차 취득세 계산기를 통한

차량 취등록세 계산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간단하게 인터넷을 통해 자동으로 계산이 가능하니

아래를 참고해서 계산해보시기 바랍니다.



먼제 네이버 "자동차 취등록세 계산기"를

검색해 주시기 바랍니다.

그럼 가장 상단에 뜨는 사이트이 보이실 겁니다.

거기로 들어가 주시기 바랍니다.



해당 사이트에 접속 한 모습 입니다.

메인화면에 바로 취등록세 계산기가 있는데요

여기에 본인이 구입하고자 하는 차량의 차종과

가격을 입력하고 계산해 주시면 됩니다.



저는 예시로 비상업용 2000만원 가량의

승용차로 계산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차종에 따라 세율이 다른데

세율은 자동으로 기입 됩니다.

모두 입력 후 [계산하기]를 눌러주시면 됩니다.




그리고 스크롤바를 아래로 내려보시면

위와 같이 계산 결과가 나오게 됩니다.

제가 입력한 조건으로는 등록세 100만원에

취득세 40만원해서 총 140만원이 나오네요

이전등록비에는 이 취등록세를 비롯해서

공채매입비와 기타 비용이 추가 될 수 있는데

공채비용의 경우 차량을 등록하는 지역에 따라 다릅니다.



공채 매입 비용에 대한 부분은 스크롤바를

내려보시면 자세한 표가 있으니 참고 하시면 됩니다.

지역이랑 차종, 배기량에 따라 달라집니다.



그리고 취득세 요율표도 있는데요

역시 차종에 따라 달라지며,

영업용과 비영업용에 따라 달라집니다.

아까 제가 계산한 차량의 경우

비영업용 승용차로 7%의 취등록세가 붙었는데

이는 등록세5%에 취득세2%가 더해진 값입니다.

차량 구입시에는 취등록세뿐만 아니라

공채비용이나 기타 부대 비용도 들어가니

참고용도로만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여기까지 인터넷에 쉽게 할 수 있는

자동차 취득세 계산기 사용법에 대해

간략하게 소개해 드렸습니다.

차량 구입을 준비 중이신분들께선

참고용도로 사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