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갑습니다. 정보통 입니다.

오늘은 지역건강보험료 계산기 사용법에

대해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국민건강보험은 국가에서 국민들의

건강을 위해 만든 제도로 소득이 있으면

누구나 의무적으로 가입하게 되어있습니다.



특히 우리나라 같은 경우

이러한 제도가 잘 되어 있어서

다른 나라에 비해 의료 혜택을

전 국민이 누릴 수 있습니다.



이러한 건강보험은 직장인 가입자와

지역 가입자로 나뉘게 되는데

오늘은 지역가입자가 납부해야 하는

보험료가 얼마인지 계산해보는 방법으로

지역건강보험료 계산기 사용방법에 대해

설명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국민건강보험 사이버민원 센터

홈페이지로 접속해 주셔야 합니다.

네이버와 같은 검색 포털에 검색하시고

해당 사이트로 들어가주시기 바랍니다.



홈페이지에 들어가시면 메인화면에

[보험료] 카테고리에 보시면

[4대 사회보험료 계산] 메뉴가 있습니다.

클릭해서 들어가주시기 바랍니다.



그럼 위와 같은 페이지가 나오실겁니다.

공인인증서 로그인을 하시고

[나의 건강보험료 확인하기]를 누르시면

현재 본인이 내고 있는 건강보험료

확인도 가능합니다.

지역건강보험료 계산을 위해서는

[건강보험료 모의 계산하기]로 들어가줍니다.



여기서는 [지역보험료 모의계산하기]로

들어가면 됩니다.

직장인의 경우 직장인 메뉴로

이용하시면 됩니다.




그럼 위와 같은 양식이 나오게 되고

세대주와 소득, 보유 주택이나 건물,

보유한 자동차 정보 등의 재산 내역을

본인에 맞게 기입하시고

아래 [계산하기]를 누르시면

자동으로 계산해 볼 수 있습니다.



제가 임의적으로 작성해본 결과 입니다.

위와 같이 조건에 맞게 예상 지역보험료가

얼마 정도 되는지 계산되서 나옵니다.

하지만 이건 모의 계산일뿐 다른 조건들에 따라

실제로 나오는 건강보험료는 다를 수 있습니다.



이상으로 인터넷을 이용해 간단하게 할 수 있는

지역건강보험료 계산기 사용방법에 대해

간략하게 정리해 드렸습니다.

댓글